국립공원공단 야생생물보전원의 여우 복원 사업
한반도에서 사라진 여우
한때 한반도 전역에서 쉽게 볼 수 있었던 여우는 현재 멸종위기종이 되었다. 1960년대 진행된 ‘쥐잡기 운동’은 쥐를 먹이로 삼던 개체 수를 급격히 감소시켰다. 서식지가 파괴된 데다 모피를 위한 사냥이 계속되면서 결국 2004년 마지막 사체가 발견되었고, 한반도에서 완전히 사라졌다.
여우 복원 사업과 탐방 프로그램
경북 영주시에 위치한 국립공원공단 야생생물보전원 중부보전센터에서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복원사업의 일환으로 복원을 진행 중이며, 이를 알리기 위한 탐방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다시 돌아온 여우를 만나요’ 프로그램은 하루 3회, 매회 1시간 동안 진행되며 더불어 멸종위기종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 참가자들은 생태학습장에서 직접 만나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체험할 수 있다.

생태계 복원의 첫걸음
여우탐방안내소에서 시작하는 체험
야생생물보전원 중부보전센터는 서식지인 만큼 시내에서 다소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다. 도착하면 국립공원공단 ‘탐방안내소’를 먼저 만나게 된다. 안내소 내부에는 어린이용 책상과 의자가 마련되어 있으며, 기념품 매대도 있다.
예약 확인을 마친 후, 탐방객들은 해설사의 안내를 따라 건물 뒤편의 ‘여우생태관찰원’으로 이동한다. 프로그램은 멸종위기종 보호의 필요성을 설명하는 짧은 영상 시청으로 시작된다. 현재 100만 종의 동식물이 멸종위기에 처해 있으며, 이를 보전하는 것은 매우 시급한 과제이다.
반달가슴곰 복원 사례
우리나라에서도 반달가슴곰, 여우, 산양 등의 복원 사업이 진행 중이다. 반달가슴곰의 경우, 지리산 생태계의 중요한 구성 요소였으나 멸종위기에 처하면서 생태계 전반에 영향을 주었다. 이처럼 멸종위기종을 복원하는 일은 단순한 개체 수 증가가 아니라 생태계를 회복하는 중요한 과정이다.
생태와 복원 과정
특징과 습성
탐방객들은 영상 시청 후 생태 전시실을 방문하게 된다. 이곳에는 모형과 동굴을 재현한 설치물이 마련되어 있으며, 배설물과 박제 등을 활용한 해설이 이어진다.
우리나라 흔히 ‘붉은 여우’라고 불리며, 개와 닮은 외형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주둥이가 더 길고, 귀 뒤나 다리 끝에 검은색 털이 있으며, 꼬리 끝에 흰색 털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잡식성으로 나무 열매뿐만 아니라 개구리, 썩은 고기까지 섭취한다. 1960년대 쥐잡기 운동 당시 독극물이 든 쥐를 섭취하면서 많은 개체가 희생되었다.
복원을 위한 노력과 방사 과정
2004년 마지막 사체가 발견된 이후, 복원 사업을 위해 중국 동북부와 러시아 등지에서 DNA 검사를 거쳐 개체를 도입했다. 이후 2012년부터 소백산국립공원에 방사가 시작되었고, 2014년부터는 가족 단위로 방사가 이루어졌다.
방사된 이들은 위성추적장치를 부착해 위치와 생태를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2023년 기준으로 소백산에서 하루 평균 이동 거리는 0.96㎞로 나타났다. 일부 개체는 소백산 권역을 벗어나기도 한다.
부상당한 여우들의 보호
방사한 동물들은 다양한 이유로 다시 포획되기도 한다. 2023년 한 해 동안 15마리가 포획되었으며, 덫에 걸리거나 로드킬로 인해 부상을 입은 경우가 많다. 다리가 절단되거나 꼬리가 잘리는 등 심각한 부상을 입은 개체는 자연으로 방사되지 않고 보호받으며, 건강한 개체는 자연 적응 훈련을 거친 후 방사된다.
생태계 복원을 위한 협력
민·관 협력의 필요성
탐방 프로그램이 강조하는 핵심 메시지는 멸종위기종 보전의 중요성이다. 한 종의 동식물이 사라지면 생태계 전체가 위협받는 만큼, 복원 사업은 정부 기관뿐만 아니라 연구기관, 시민단체, 지역 주민들의 협력이 필수적이다.
복원을 위해 ‘여우 공존협의체’가 운영되고 있으며, 폐농약 수거, 불법 엽구 설치 근절, 로드킬 예방을 위한 홍보 활동이 진행되고 있다.
탐방객들이 만난 여우
탐방객들은 야외 체험장에서 직접 관찰할 수 있다. 예민한 동물이므로 큰 소음을 피해야 하며, 낮보다는 흐린 날이나 오후 시간대에 관찰할 확률이 높다. 운이 좋으면 10마리가 넘는 동물들이 활발하게 움직이는 모습을 볼 수도 있다.
해설사는 프로그램을 마무리하며 “ 복원되면 생태계가 건강해지고, 우리 역시 건강한 삶을 살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복원사업이 진행 중인 멸종위기 동물
반달가슴곰 복원
반달가슴곰은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인해 한때 야생에 5마리만 남아 멸종위기에 처했다. 2004년부터 진행된 복원사업으로 현재는 80마리 이상으로 개체 수가 늘어난 상태다.
산양 복원
산양은 국제적으로 보호받는 동물로, 우리나라에서는 1950년대 이후 개체 수가 급감했다. 2006년부터 월악산에서 복원사업이 진행 중이며, 현재 설악산, 월악산, 울진, 삼척 등에서 서식하고 있다.
국립공원 탐방
국립공원공단 예약 시스템
국립공원공단 예약시스템(reservation.knps.or.kr)을 이용하면 야영장, 대피소, 탐방 프로그램 등을 예약할 수 있다. ‘다시 돌아온 여우를 만나요’ 프로그램 역시 해당 사이트에서 예약 가능하다. ChatGPT의 말:
또한, 국립공원공단 예약 시스템에서는 실시간 예약 현황 확인 및 결제 서비스도 제공되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계절별 인기 탐방 프로그램과 자연 해설 프로그램도 운영되므로, 미리 예약하면 더욱 알찬 국립공원 탐방을 즐길 수 있다.
▶️ 출처 : 정책브리핑(https://www.korea.kr)
▶️ 국립공원공단 야생생물보전원 SNS로 방문하기
▶️ 클로저 최근 기사 더보기